199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는 1994년 아시안 게임에서 진행된 태권도 종목의 경기 결과를 담고 있다. 남자 핀급, 플라이급, 밴텀급, 페더급, 라이트급, 웰터급, 미들급, 헤비급 총 8개의 체급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이란과 중화 타이베이가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는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남녀 8개 체급으로 총 128명의 선수가 경쟁했으며, 7월 24일부터 27일까지 경기가 진행되었고, 대한민국은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 일본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남자 +80kg급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남자 +80kg급은 2021년 7월 2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경기이며, 블라디슬라프 라린, 루슬란 자파로프, 라파엘 알바, 세이크 시세가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 1994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1994년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은 11개국 112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7개 세부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대한민국이 금메달 4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고 인도네시아가 그 뒤를 이었다. - 1994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1994년 아시안 게임 농구
1994년 아시안 게임 농구는 히로시마현 스포츠 센터에서 열렸으며, 남자부에서는 중국이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여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금메달, 일본이 은메달, 중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태권도 - 2018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2018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는 자카르타에서 겨루기와 품새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특히 품새가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대한민국은 금메달 5개를 포함하여 총 1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태권도 - 2002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태권도 경기는 구덕실내체육관에서 35개국 219명의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남자 8체급과 여자 8체급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하고 중화 타이베이가 그 뒤를 이었다.
199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 |
---|---|
대회 정보 | |
종목 | 태권도 |
대회 | 1994년 아시안 게임 |
개최지 | 일본 히로시마 |
경기장 | 아키 워드 스포츠 센터 |
기간 | 1994년 10월 8일 – 9일 |
이전 대회 | 1986 |
다음 대회 | 1998 |
2. 경기 결과
체급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핀급 (-50kg) | 장정산 (중화 타이베이) | 루기 리얀디 (인도네시아) | 핫토리 다이스케 (일본), 매니프 알-디하니 (쿠웨이트) |
플라이급 (-54kg) | |||
밴텀급 (-58kg) | 쩐 꽝 하 (VIE) | 알폰스 룽 (INA) | 웡 칭 벵 (MAS), 야마시타 히로노부 (JPN) |
페더급 (-64kg) | 김현용 (KOR) | 로버트 바르가스 (PHI) | 예브게니 칸 (UZB), 칼리드 알-샴라니 (KSA) |
라이트급 (-70kg) | 파리보르즈 아스카리 (IRI) | 야마시타 히로유키 (JPN) | 라젠드란 라주 (MAS), 유세프 아부 자이드 (JOR) |
웰터급 (-76kg) | 정광채 | 에브라힘 사아다티 | 아리타 미츠시게, Jeetender Kumar Rai|지텐데르 쿠마르 라이영어 |
미들급 (-83kg) | 하미드 골룸 (KUW) | 아마르 파헤드 스베이히 (JOR) | 마지드 아민토라비 (IRI), 안드리 할림 (INA) |
헤비급 (+83kg) | 김제경 | 파르자드 자라크시 | 우파오이, 타우피크 누아세르 |
2. 1. 남자
199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의 남자부 경기는 8개 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체급별 메달 획득 현황은 다음과 같다.체급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핀급 (-50kg) | 장정산 (중화 타이베이) | 루기 리얀디 (인도네시아) | 핫토리 다이스케 (일본), 매니프 알-디하니 (쿠웨이트) |
플라이급 (-54kg) | |||
밴텀급 (-58kg) | 쩐 꽝 하 (VIE) | 알폰스 룽 (INA) | 웡 칭 벵 (MAS), 야마시타 히로노부 (JPN) |
페더급 (-64kg) | 김현용 (KOR) | 로버트 바르가스 (PHI) | 예브게니 칸 (UZB), 칼리드 알-샴라니 (KSA) |
라이트급 (-70kg) | 파리보르즈 아스카리 (IRI) | 야마시타 히로유키 (JPN) | 라젠드란 라주 (MAS), 유세프 아부 자이드 (JOR) |
웰터급 (-76kg) | 정광채 | 에브라힘 사아다티 | 아리타 미츠시게, Jeetender Kumar Rai|지텐데르 쿠마르 라이영어 |
미들급 (-83kg) | 하미드 골룸 (KUW) | 아마르 파헤드 스베이히 (JOR) | 마지드 아민토라비 (IRI), 안드리 할림 (INA) |
헤비급 (+83kg) | 김제경 | 파르자드 자라크시 | 우파오이, 타우피크 누아세르 |
2. 1. 1. 핀급 (-50kg)